입출력 파트에서 다뤘어야 했는데 이해하기 귀찮다고 넘겼다가 시험 4일전에 발견해서 울고싶다.
format은 원하는 바를 출력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 0, 1
print("{0}를 {1}잔 마시고 싶어요.".format('아메리카노', 3))
## 직접 변수넣기
print("{drink}를 {jan}잔 마시고 싶어요.".format(drink = '아메리카노', jan = 3))
## 변수 끌어오기
drink = '아메리카노'
jan = 3
print("{0}를 {1}잔 마시고 싶어요.".format(drink, jan))
---------------
아메리카노를 3잔 마시고 싶어요.
아메리카노를 3잔 마시고 싶어요.
아메리카노를 3잔 마시고 싶어요.
print("{ }, { }".format(값0, 값1)) 이다.
{ } 중괄호 안에 인자/변수를 넣고
따옴표 바깥에 .format( )을 치고 그 안에 인자/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넣는다.
format 사용 방법은 위의 3가지가 있다. 편한대로 하자
print("{}를 {}잔 마시고 싶어요.".format('아메리카노', 3))
print("{1}를 {0}잔 마시고 싶어요.".format('아메리카노', 3))
-------------
아메리카노를 3잔 마시고 싶어요.
3를 아메리카노잔 마시고 싶어요.
참고로 중괄호 안에 아무것도 넣어주지 않으면, 자동으로 format()에서 쓴 순서대로 들어간다.
{0}, {1}은 format()에서 쓴 순서로, {0}대신 {1}을 먼저 넣어주면 1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먼저 쓰인다.
'게임 제작 관련 > 개발환경(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각화(그래프 그리기) 전 준비 (0) | 2022.10.27 |
---|---|
Python Turtle 모듈 응용(디지털 시계 만들기) (1) | 2022.10.14 |
Python def 함수정의, return 반환문 (1) | 2022.10.13 |
R subset, which함수 & 패키지 다루기(엑셀 등) (0) | 2022.10.11 |
Python 반복문 for, while (1)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