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란?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MZ세대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소유보다는 공유(렌털이나 중고시장 이용)를, 상품보다는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특징을 보이며,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나 특별한 메세지를 담은 물건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표출하는 '미닝아웃' 소비를 하기도 한다. 또한 이들 세대는 미래보다는 현재를, 가격보다는 취향을 중시하는 성향을 가진 이들이 많아 '플렉스' 문화와 명품 소비가 여느 세대보다 익숙하다는 특징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MZ 세대 특징을 보여주는 기사
"MZ세대는 도도한 고양이, 가르치려 말고 유혹하라"
“엠제트(MZ)라는 바람직한 ‘몬스터 세대’들은 들여다볼수록 고양이를 닮았습니다. 이들이 요구하는 것은 딱 하나입니다. 나를 가르치려고 하지 말고 유혹해라.” 최명화 서강대 기술경영전
v.kakao.com
‘긴 글 찾는 MZ세대’…블로그의 화려한 부활
‘긴 글 찾는 MZ세대’…블로그의 화려한 부활, 이명지 기자, 비즈니스 포커스
magazine.hankyung.com
[기하영의 생활 속 카드]MZ세대 취향저격…블랙핑크·BTS 카드 나온다
요즘 세상에 신용카드 한두 장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현대사회에서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카드를 가질 수 있는 세상이 됐습니다. 신용카드는 일상생활에 더없는 편리함을 가져다 줬습니다. 이
www.asiae.co.kr
MZ 세대들의 IT 이슈
-메타버스
[메타버스 시대③] MZ세대들 가장 열광…왜?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가상세계인 메타버스(Metaverse)가 MZ세대(밀레니엄+Z세대, 1980년~2000년대 초반 출생)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www.newsis.com
-가상인간
[Her?헐!]③ '가짜인줄 알면서'…우리는 어쩌다 '가상인간'에 빠지게 됐나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메디블록(데이터 주권)
[이병선이 만난 MZ세대 CEO] 메디블록 이은솔 대표 (하) "구글은 데이터 독점 기업, 메디블록은 데
뉴스투데이가 이병선 디지털미래정책연구소장과 함께 연중기획으로 MZ세대 CEO들을 만난다. 눈과 귀 그리고 가슴을 열고, 그들의 창업철학부터 사회개혁론까지 모든 것을 가감없이 전한다. <편
www.news2day.co.kr
-금융
금융권, MZ세대 겨냥 … 디지털 전환 붐
사진=조현지 기자 MZ세대가 소비층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사람이 일일이 해야 할 일을 기계가 대신하기 시작했고, 이제 초등학생도 프로그래밍을 배웁니다. 손이 많이 갔던 은행 업무도 2016년 이
newsclaim.co.kr
-음악재테크
"40분만에 수익률 -17%"…MZ세대 인기 `뮤직테크` [김기자 해봤습니다]
누나, 노래로 돈 벌어볼까.MZ세대를 중심으로 `조각투자` 방법 중 하나인 `뮤직테크(음악+제태크)`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매순간 피를 말리는 비트코인에 `혼쭐`이 난 MZ세대가 뮤직테크에 눈을
www.mk.co.kr
-암호화폐
암호 화폐의 60% 'MZ 세대' 그들이 극단적인 투자를 하는 이유 '내 집 마련' | tvN 210524 방송
미래수업 | #미래수업 #투자 #안현모 미래수업 Living the New Normal EP.21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5월 24일 (월) 저녁 7시 40분
tv.naver.com
-MZ세대 겨냥한 기업들
'똑같은건 싫어' MZ세대 취향 맞춰라…삼성·LG 이유있는 변신 - 머니투데이
"MZ세대 잡아야 산다" 삼성·LG전자의 이유있는 변화 "고민은 우리가 할게요. 당신은 예쁘게만 사세요."삼성전자가 지난달 선보...
news.mt.co.kr
빙그레와 오리온 인스타그램 계정이 MZ세대의 환호를 받는 이유
빙그레와 오리온 우리에게 친숙한 두 과자회사인 빙그레와 오리온은 요즘 MZ세대들의 환호를 받고 있다. ...
blog.naver.com
MZ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카카오뱅크,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같은 금융플랫폼업체 3~4개가 데카콘기업(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비상장사)으로 성장했다. 2021년 6월 말 현재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네이버파이낸셜)의 가치도 10조 원을 넘어섰다는 평가다. 이들 ‘빅4’의 기업가치는 50조 원을 훌쩍 웃돈다. KB 신한 하나 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의 시총 합계 62조 원에 버금간다.
2020년까지 MZ세대(15~40세)는 세계 인구의 33%를 차지했다. 그러나 앞으로 베이비붐 세대 비중이 줄어드는 점을 고려하면 2040년에는 5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모건스탠리는 미국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Z세대(1996~2010년 사이에 출생한 7800만 명)가 오는 2034년께 미 역사상 가장 수가 많은 세대로 등극한다고 분석했다. 대출, 소비 등 금융업 전반에서 막대한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베이비부머로부터 부의 이전이 시작되는 것도 MZ세대에 금융사들이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다. 전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부를 소유하고 있는 계층이다. 그러나 이들의 노화와 사망 등에 따라 자산이 MZ세대로 향후 20년간 이전될 전망이다. 미국에서는 5년마다 1조3000억달러가량의 자산이 자녀 세대로 옮겨간다. 베이비부머 사망이 늘어나기 시작하는 2036~2040년에는 자산 이전 속도가 지금보다 두 배가량 빨라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금융산업 조사·컨설팅 회사인 셀룰리어소시에이션에 따르면 MZ세대는 2042년까지 약 22조달러를 상속받을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의 ‘MZ세대가 기대하는 금융의 모습’ 보고서를 보면 이들 세대의 금융 영향력은 눈에 띄게 커지고 있다. 기저에는 MZ세대의 특수한 금융 생활 패턴과 경제력 집중 현상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들의 금융 특성은 △재테크·금융서비스에 높은 관심도 △다양한 투자 방식 리드 △투자정보 취득의 다양화 등 세 가지다. 유튜브, SNS 등으로 정보를 다양하게 습득하고 전형적인 금융 상품에 얽매이지 않으며 재테크와 금융서비스에 높은 관심을 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특성을 지닌 세대가 더 많은 경제력을 거머쥘 경우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다는 분석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MZ세대 [MZ Generation] (한경 경제용어사전)